인덕션에 대한 여러 장점들을 듣게 되면서 새롭게 인덕션을 구매하기로 결정했다. 여러 제품들 중에서도 화이트 색상의 가장 예쁜 삼성 비스포크 인덕션을 구매하고자 했는데, 종류가 너무 많고 각 제품에 따른 특성이 무엇인지 쉽게 알 수가 없었다. 그래서 그 차이점을 하나하나 비교해 보았다.

 

 

삼성 비스포크 인덕션 제품별 차이점 비교

 

삼성 인덕션, 전기레인지 종류

가전은 무조건 신제품!!! 이기에 일단 공식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나열된 인덕션들을 살펴봤다. 

 

삼성_비스포크_인덕션_유형
삼성 홈페이지 인덕션 유형

아래 항목부터 살펴보면

  • <라디언트>
    '하이라이트'라고 불리기도 하는 열선이 직접 상판을 가열하는 방식의 전기레인지라고 한다.
    인덕션과는 달리 전용 냄비나, 프라이팬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긴 하지만 이 장점을 제외한 대부분의 특징이 단점이라 애초에 구매할 생각을 안 했다.

  • <하이브리드>
    '라디언트 2구 + 인덕션 1구'와 같은 식으로 두 개의 제품을 합쳐놓은 제품을 팔고 있는 항목이다.

  • <더 플레이트 인덕션>
    1구짜리 인덕션을 소개하는 항목이다.

  • <인덕션>
    70~80만 원 정도의 인덕션이 보이는데 화이트 색상이 보이지 않았다.

가장 위에 있는

  • <BESPOKE 인덕션 Infinite Line>
    200만 원이 넘는 최고급 제품을 판매하는 항목이다.
    가격이 지나치게 높은 것도 문제였지만 블랙과 그레이?, 실버?로 보이는 색상만 있을 뿐 화이트 색상이 없다.
    고민을 덜 수 있어 다행이었다.

삼성_비스포크_인덕션_Infinite_Line
삼성 홈페이지 비스포크 인덕션 Infinite Line


결국 내가 원했던 화이트 색상의 인덕션은 <BESPOKE 인덕션> 항목에만 존재했다.

이제 두 번째 항목의 <BESPOKE 인덕션>을 살펴보자.

 

 

삼성 BESPOKE 인덕션 종류, 제품 비교

두 번째 항목을 클릭하면 정말 많은 인덕션이 등장한다. 모두가 화이트 색상의 상판을 가졌으며 조작부의 색상에서 차이를 두었다.
또한 두 번째 항목답게 가격도 Infinite Line 다음으로 두 번째로 비쌌다. ㅠㅠ

삼성_비스포크_인덕션
삼성 홈페이지 비스포크 인덕션

1. 두 번째 항목에 등장하는 BESPOKE 인덕션의 종류를 쭉 살펴보았다. 총 18개의 제품이 등장했다.

2. 나는 1구짜리 인덕션이 필요 없었기에 '+더 플레이트 인덕션 1구'가 붙은 제품들은 제외했다.
제품들의 품번을 살펴보면 숫자 다음 X가 나온 제품들이 인덕션과 더 플레이트 인덕션 1구를 함께 파는 제품들이다.
(예를 들면 NZ6507XZ31PK 같은 제품들)

3. 10개의 제품들이 지워지고 이제 8개의 제품들이 남았다.
다시 한번 남아있는 제품들의 품번을 살펴보면 NZ63A······와 NZ63B······ 로 나눌 수가 있다.
출시년월에서 차이가 있는 인덕션으로 A는 2021년 , B는 2022년 제품이다.
올해 신상을 사는 게 목표이므로 2021년 제품은 제외했다.

4. 2개가 사라지고 6개의 인덕션이 남았다.
남아 있는 제품들의 품번을 나열해 보면 다음과 같다. 

  • NZ63B6657XM
  • NZ63B6507XNEL
  • NZ63B6657XMEL
  • NZ63B8708XH
  • NZ63B6507XNE
  • NZ63B6527XWE

품번 맨 뒤의 영문은 조작부 색상과 사은품을 가리킨다.

'NZ63B6507XNEL'의 끝자리 영문 XNEL을 보면,
XN은 제품 색상을 E는 냄비를 L은 정확히 뭔지는 모르겠지만 온도계처럼 보이는 것을 준다는 이야기다.

(제품 색상을 나타내는 영문은 아래 적어두었다.)

삼성_비스포크_인덕션과_사은품
NZ63B6507XNEL [ XN=색상_E=냄비_L=온도계? ]

 

각설하고, 위에 적은 품번들 중에서
공통적으로 들어간 NZ63B와 색상, 사은품을 가리키는 품번을 제외하면
최종적으로 4개의 제품이 등장한다. (6657, 6527, 6507, 8708) 

  • NZ63B6657
  • NZ63B6527
  • NZ63B6507
  • NZ63B8708

이제 다음 파트에서 위 4개의 제품을 비교해보고 그 차이점을 이야기해보겠다.

 

 

 

2022년 비스포크 인덕션 제품 비교 8708 vs 6507

4개 인덕션의 확실한 차이를 알기 위해 삼성 공식 홈페이지에서 스펙을 확인해보았다.

먼저 8708 모델과 6507 모델을 비교해보았다.

제품 NZ63B8708 NZ63B6507
조작부 색상 글램 화이트
(단일)
글램 화이트, 글램 피치,
글램 베이지, 글램 바닐라
(4가지)
디스플레이 종류 LED LCD
사이즈(가로x세로x높이) 600 x 522 x 56 mm 600 x 522 x 48 mm
제품 무게 10.7 kg 11.1 kg
출력 - 우측 인덕션 210mm - 2.1 / 3.3 (Max) kW 인덕션 210mm - 2.2 / 3.4 (Max) kW
안정기능 15가지 16가지
제조사 Guangdong Midea Consumer Manufacturing Co (주) 쿠첸
제조국가 중국 대한민국

스펙 상 차이가 나는 부분만 모아 표로 만들어 보았다.

  • 전반적으로 6507 모델이 더 나은 제품으로 보였다. (8708 < 6507)

  • 디스플레이 종류에도 차이가 났다. TV를 생각하면 LED가 더 좋은 제품일 것 같았으나 LCD 탑재 모델이 더 비쌌다.

  • 높이와 무게에서도 약간의 차이가 났는데 제조사와 제조국가가 다른 걸 보면 내부 부품에도 차이가 있는 것 같다.

  • 미세하지만 인덕션의 본질적 기능에서도 차이가 있었는데, 가장 센 화력을 내는 오른쪽 인덕션에서 최소, 최대 화력이 각각 0.1kW 차이가 났다.
    그런데 이 차이가 실질적으로 어느 정도인지 알 수가 없어 체감을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스펙에서는 오른쪽 인덕션의 출력만 적혀 있었는데 왼쪽의 위, 아래에서도 차이가 있지 않을까 추측해본다.

  • 각 제품 소개 포스터에 각각 15개(8708), 16개(6507)의 안전한 설계를 했다고 나왔는데 그 종류가 무엇인지는 설명해주지 않았다. 어쨌든 6507 제품이 1가지가 더 추가되었다는 점.

삼성_비스포크_인덕션과_비교
(좌)8708 / (우)6507

  • 마지막으로 결정적 차이다 8708 제품은 중국 기업에서 만들어진 중국산이고 6507은 국내에서 만들어진 제품이라는 것!!!

 

비스포크 인덕션 제품 비교 6507 vs 6527

다음은 6507과 6527 모델을 비교해보았다.

 

제품 NZ63B6507 NZ63B6527
조작부 색상 글램 화이트, 글램 피치,
글램 베이지, 글램 바닐라
(4가지)
글램 화이트, 글램 핑크,
글램 그레이
(3가지)
화구 수 3 (3 싱글) EA 3 (1듀얼, 2 싱글) EA
출력 - 우측 인덕션 210mm - 2.2 / 3.4 (Max) kW 인덕션 280mm - 2.4 / 3.4 (Max) kW
제품 무게 11.1 kg 11.2 kg
제조사 (주) 쿠첸 Guangdong Midea Consumer Manufacturing Co
제조국가 대한민국 중국
  • 가격 검색을 해보니 역시 6507보다 6527 제품이 10만 원 정도가 더 비쌌다. (6507 < 6527)
  • 두 제품 모두 화구의 수는 같았지만 기능적으로 차이가 있었다.
    왼쪽 2개의 화구는 제품 간 차이가 없었지만,
    6507의 오른쪽 화구는 21cm 코일이 있는 반면, 6527 제품의 오른쪽 화구는 아래 사진처럼 21cm와 28cm 두 개의 코일이 장착돼 있다. (화구 수의 1 듀얼이라는 말은 코일이 두 개 있는 화구가 1개 있다는 소리인 듯하다.)
    인덕션 특성상 큰 조리기구에는 어울리는 큰 코일이 더 효율적인 화력을 보여주나 보다.

삼성_비스포크_인덕션_6527
삼성 비스포크 인덕션 - 6527

  • 마지막으로 제조사를 살펴보면 의문이 들었다. 좀 더 비싼 제품이 중국산이라니....
    광동 미디어 어쩌고 하는 회사가 어느 정도 수준을 가진 회사인지 알아봐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비스포크 인덕션 제품 비교 6527 vs 6657

마지막으로 6527 제품과 6657 제품을 비교해보았다.

참고로 6657 제품에는 플렉스라는 명칭이 따로 붙어있다.
비스포크 인덕션 제품 중 유일하게 플렉스 존이라는 기능이 들어있기 때문인 싶다. 그로 인해 가격도 가장 높다. ㅠ

제품 NZ63B6527 NZ63B6657
조작부 색상 글램 화이트, 글램 핑크, 글램 그레이
(3가지)
글램 모닝 블루, 글램 이브닝 코랄,
글램 화이트, 글램 핑크, 글램 글레이
(5가지)
화구 수 3 (1듀얼, 2 싱글) EA 3 (1듀얼, 2 플렉스존) EA
출력 - 우측 인덕션 210mm - 2.2 / 3.4 (Max) kW 인덕션 280mm - 2.4 / 3.4 (Max) kW
출력 - 플렉스 존 없음 플렉스 존(앞) 인덕션 - 2.0 / 3.2 (Max) kW
플렉스 존(뒤) 인덕션 - 2.0 / 3.2 (Max) kW
플렉스 존(전체) 인덕션 - 3.0 / 3.3 (Max) kW
제품 무게 11.2 kg 12.1 kg
제조사 Guangdong Midea Consumer
Manufacturing Co
Guangdong Midea Consumer
Manufacturing Co
제조국가 중국 중국
  • 6657 (플렉스) 제품은 6527이 가진 3가지 색상에 2가지 생상이 추가되어 (글램 모닝 블루, 글램 이브닝 코랄) 총 5가지 색상을 가지고 있다.
    가장 비싼 제품에만 포함된 색상이라 그런진 가장 고급지다는 느낌이 든다.
  • '플렉스존' 이라는 기능은 6657 제품에만 유일하게 탑재된 기능으로, 
    왼쪽 위, 아래에 있는 두 개의 화구를 하나의 화구처럼 쓸 수 있는 기능이다.
    넓은 조리기구를 보다 높은 화력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개인마다 사용빈도에는 차이가 있을 것 같다. (한 유튜버는 인덕션을 리뷰하며 이 기능을 몇 년 동안 한 번도 사용하지 않았다고 한다.)

삼성_비스포크_인덕션과_6657_플렉스존
삼성 비스포크 인덕션 플렉스존

  • 무게 차이는 플렉스존의 유무 때문에 발생한 것 같다.
  • 6527과 6657 제품 모두 동일한 제조사를 가지고 있다.
    가장 비싼 제품의 제조사도 중국인걸 보면 중국산이라고 마냥 무시할 수는 없을 것 같다.
    하지만 왠지 모를 이 찝찝함은......

 

 

 

비스포크 인덕션 제품 색상 품번

[NZ63B6657]

XM 글램 모닝 블루

XW 글램 화이트

XE 글램 이브닝 코랄

XP 글램 핑크

XG 글램 글레이

삼성_비스포크_인덕션_색상_6657
비스포크 인덕션 색상 NZ63B6657

 

[NZ63B6527]

XW 글램 화이트

XP 글램 핑크

XG 글램 글레이

삼성_비스포크_인덕션_색상_6527
비스포크 인덕션 색상 NZ63B6527

 

[NZ63B6507]

XN 글램 피치

XH 글램 화이트

XY 글램 베이지

XZ 글램 바닐라

삼성_비스포크_인덕션_색상_6507
비스포크 인덕션 색상 NZ63B6507

 

[NZ63B8708]

XH 글램 화이트

 

 

마치며

마지막으로 간단하게 정리하자면

  1. 2022년에 나온 삼성 비스포크 인덕션 제품은 총 4가지가 있다.
  2. 품번  8708 < 6507 < 6527 < 6657 순으로 비싸다.
  3. 차이점을 보면,
    8708 = 특별한 기능도 없고, 미세하지만 화력도 약하다. (0.1kW 차이)
    6507 = 4개의 제품 중 유일한 국내산이다. 제조사는 쿠첸. 다른 3개의 제품은 광동 어쩌고 하는 중국산.
    6527 = 오른쪽 화구의 코일이 2개이다. (21cm + 28cm)
    6657 = 오른쪽 화구의 코일이 2개이며, 왼쪽 2개의 화구를 하나로 쓸 수 있는 플렉스 존이라는 기능이 있다.

요 정도로 요약할 수 있겠다.

 

 


인덕션을 구매하려는데 차이점을 몰라 답답한 마음에 제품끼리 비교를 해보았습니다.
나름 시간을 투자해 조사했는데 그냥 버리기 아까워 블로그에 이렇게 포스팅해봅니다. 
참고로 저는 6507 제품과 6527 제품 사이에서 고민하다가 10만 원 아끼고 국내산 제품인 6507 제품을 구매하기로 결정했습니다.ㅎㅎ
이상으로 삼성 비스포크 인덕션 제품들의 비교를 마치며, 다음에는 사용후기로 찾아뵙겠습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